본문 바로가기

가볼만한곳추천

예천 용문사 초간정 삼강주막 선몽대


  • 홈 > 문화관광 > 문화재소개
 
    • 예천 초간정 원림(명승 제51호 2008.12.26지정)
    • 소재지 :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죽림리 350외 2필
    • 소유자 : 권영기외
    • "초간정 원림"은 용문면 원류마을 앞 계류가 굽이쳐 흐르는 암반 위에 세워진 초간정과 주변 자연 경관이 하나의 아름다운 전통원림 경관을 형성하고 있는 곳으로 선조들의 무위자연사상을...
    • 초간정(문화재자료 제143호 1985.08.05 지정)
    • 소재지 :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죽림리 350
    • 소유자 : 권영기
    • 이 건물은 『대동운부군옥, 大東韻府群玉』을 저술한 초간 권문해(權文海 1534~1591)가 세우고 심신을 수양하던 곳이다.
      조선 선조(宣祖) 15년(1582)에 처음 지어진...
    • 궁시장(중요무형문화재 제47호 2008. 5.. 7 지정)
    • 소재지 : 예천읍 서본리 65-6
    • 소유자 : 김종국
    • ‘궁시장(弓矢匠)’은 전통 궁시(弓矢)를 만드는 장인이다.
      궁시는 구석기시대부터 근대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던 무기로, 우리 역사와도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.
      끊임없이 ...
    • 예천 무이리 청원정(문화재자료 제533호 2008. 2.. 18 지정)
    • 소재지 : 예천군 용궁면 무이리 379
    • 소유자 : 용궁전씨대종회
    • 청원정은 고려 공민왕 3년(1354)에 국파 전원발(1288~미상)이 환국했을 때 원나라 원제에 조공을 감면케 한 공로로 축산부원군에 봉군되고 지금의 소천강 일대를 하사받아 청원정...
    • 예천 보문사 극락보전 아미타삼존상(문화재자료 제519호 2007. 4.. 30 지정)
    • 소재지 : 예천군 보문면 수계리 158
    • 소유자 : 보문사(관리자 보문사)
    • 극락보전에 안치된 아미타삼존상 가운데 본존불상은 사각형의 얼굴과 움츠린 듯한 어깨, 경직된 부피감, 두꺼운 통견을 하고 있는 등 조선 후기의 불상양식을 보이고 있다. 手印은 촉지항...
    • 예천 선몽대 일원(명승 제19호 2006. 11. 16 지정)
    • 소재지 : 예천군 호명면 백송리 75번지 외
    • 소유자 : 예천군/진성이씨백송파종중
    • 선몽대 일원은 예천읍지에 수록된 약 450여년의 역사를 가진 유서 깊은 곳으로, 한국의 전통적 산수미를 보여주는 내성천 유역의 대표적 경승지의 하나이다.

      지형은 풍수...
    •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(보물 제1637호 2010. 2. 24 지정)
    • 소재지 :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 391
    • 소유자 : 용문사
    • 이 불상은 1514년(정덕9)의 조성기에 의하면 원래 ‘三尊佛像’으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고, 양손을 후대에 보수하여 어색하지만 손의 위치로 미루어 아미타불상으로 추정된다. 둥근...
    • 예천 금당실 송림(천연기념물 제469호 2006. 3.28 지정)
    • 소재지 :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리 542-1 외
    • 소유자 : 예천군
    • “예천 금당실 송림”은 천재나 전쟁에도 마음 놓고 살수 있다는 땅을 일컫는 십승지지의 한군데로 알려져 있는 예천 용문면 금당실 마을의 수해방지와 바람막이를 위하여 조성된 송림이다....
    • 예천 서악사 석가모니후불탱(유형문화재 제380호 2006.03.23 지정)
    • 소재지 : 예천군 예천읍 대심리 산 13-1
    • 소유자 : 서악사
    • 이 후불탱화는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문수보살을, 왼쪽에는 보현 보살을 거느리고 있으며 坐像으로 표현되어 있다.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의 상단에 넓적한 風帶를 그려놓고 있는 ...
    • 예천 삼강주막(민속자료 제134호 2005.12.26 지정)
    • 소재지 :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 166-1
    • 소유자 : 예천군
    • 삼강주막은 삼강나루의 나들이객에게 허기를 면하게 해주고 보부상들의 숙식처로, 때론 시인묵객들의 유상처로 이용된 건물이다. 1900년 경에 지은 이 주막은 규모는 작지만 그 기능에 ...